본문 바로가기
국토 및 도시계획 용어 모음

콤팩트 시티(Compact City)의 개념, 주요내용, 국내외 개발 도시 사례

by 'Hwa bro' 2023. 11. 25.
반응형

콤팩트 시티(compact city)의 개념

   "콤팩트 시티(Compact City)"는 1973년 미국의 '조지 댄치그'와 '토마스 사티'라는 두 학자가 저서 <콤팩트 시티>에서 처음 제시한 도시형태로, 도시 계획 및 디자인의 한 형태로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도시를 구성하는 개념이다. 이는 도시 내 거주, 교통, 비즈니스, 레저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조화롭게 통합하여 인프라를 최적화하고 도시의 에너지 소비, 대기 오염, 교통 혼잡 등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0년대 말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 1기 신도시 개발 이후 1990년대 서울 근교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 무분별한 도시의 외연확장으로 야기된 도시의 문제점으로 인해 콤팩트 시티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콤팩트 시티(compact city)의 주요 내용

'콤팩트 시티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고밀도 개발 : 콤팩트 시티에서는 높은 건물 밀도와 혼재된 땅 이용이 중요하다. 이는 주거 지역, 상업 지역, 공원, 시설 등이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여 거주자들이 필요한 서비스와 시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2. 대중교통 용이성 : 대중교통 시스템을 강화하여 개인 자동차보다는 대중교통을 활용하도록 유도한다. 지하철, 버스, 전철 등의 대중교통 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교통 혼잡을 줄이고 친환경적인 이동 수단을 장려한다.

3. 혼합 사용 영역 : 주거, 상업, 엔터테인먼트, 교육 등의 다양한 기능을 도시 내에 혼합하여 인접한 지역에서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사람들이 일상적인 활동을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하지 않고도 필요한 서비스와 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합니다.

4. 녹지 및 공공 공간 : 콤팩트 시티에서는 공원, 광장, 보행자 전용 공간 등 공공 공간을 확보하여 시민들이 자연과 문화적 활동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녹지 지역은 도시 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생태계를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

5.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및 자원 사용 : 콤팩트 시티는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재생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또한 자원을 보존하고 재활용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추구한다.

 

 

콤팩트 시티 개발 사례

1. 미국 사례

1) 포틀랜드, 오리건 (Portland, Oregon)

▶ 포틀랜드는 콤팩트 시티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이 도시는 공공 교통 시스템을 강화하고 자전거 인프라를 지원하는 등의 노력으로 유명하며, 중심부에 주거 공간과 상업 시설을 혼합하여 거주자들이 필요한 서비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조성되었습니다. 도심 곳곳에는 공원과 녹지지역이 있어 시민들이 자연을 즐기며 활동할 수 있는 공간도 제공하고 있다.

2)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San Francisco, California)

샌프란시스코는 밀도 높은 주거 지역과 상업 지구, 문화 시설이 인접하게 위치한 도시로서 콤팩트 시티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대중교통 시스템인 BART(Bay Area Rapid Transit)와 Muni 버스 등을 통해 교통 이동성을 높이고 있으며, 도시 내 다양한 지역에서 사람들이 산책하고 활동할 수 있는 공공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3) 뉴욕시, 뉴욕 (New York City, New York)

뉴욕시는 미국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도시 중 하나라는 것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고층 건물과 혼재된 주거 지역, 상업 지구가 도심부에 위치하여 필요한 서비스와 문화 시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철 시스템과 버스 노선이 발달되어 있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2. 국내 사례

1) 서울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높은 곳으로, 대중교통 체계를 확충하고 도심 재개발을 통해 콤팩트 시티를 추구하고 있다. 서울의 '한강 공원'과 같은 대규모 공원과 녹지공간은 도시 안에서 자연을 경험할 수 있는 장소로 유명하며, 도심과 자연을 조화롭게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업 지역과 주거 지역을 혼합하고, 공공 교통을 활용한 스마트 시티 구축 등을 통해 콤팩트한 도시 구조를 지향하고 있다.

2) 성남 

성남은 '분당 신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신도시 내 주거, 교육, 상업 등의 시설을 혼합하여 거주자들이 필요한 서비스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대중교통 시스템을 강화하고 자전거 인프라를 확충하여 친환경적인 이동 수단을 장려하고 있다.

3) 인천 송도

송도는 인천광역시의 신도시로, 1990년 말 광활한 갯벌지역을 매립하여 신도시로 계획하면서 콤팩트 시티 기법이 적용되었다. 주거, 상업, 문화시설 등이 근접하여 있으며, 대중교통 체계가 잘 구축되어 있습니다. 또한 녹지공간과 산책로 등을 포함한 생태 친화적인 도시 환경을 조성하여 거주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들은 고밀도로 인해 자동차 이용을 줄이고 대중교통을 강화하여 친환경적인 이동 수단을 장려하고 있다. 또한 주거, 상업, 레저 등의 다양한 활동을 혼합하여 시민들의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반응형